사잇돌 대출 1, 사잇돌 대출 2 조건 및 차이점 정리
사잇돌 대출은 중·저신용자(6~7등급 구간)를 위한 중금리 신용대출 상품으로, 금융 접근성이 낮은 서민층이 합리적인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이번 포스팅을 통해 사잇돌 대출 1과 2의 한도와 특징 및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.
SGI서울보증보험의 보증을 기반으로 제공되며, 다른 대출과 마찬가지로 대출 대상자의 소득과 신용도에 따라 한도와 금리가 결정됩니다. 이때 사잇돌 대출은 크게 사잇돌 대출 1(시중은행권)과 사잇돌 대출 2(저축은행권)로 나뉩니다.
목차
✅ 사잇돌 대출 1 (은행권)
- 취급 기관: 시중은행
- 대출 대상:
- 근로소득자: 현 직장에서 3개월 이상 재직, 연 소득 1,500만 원 이상
- 개인사업자: 사업 영위 기간 6개월 이상, 연 소득 1,000만 원 이상
- 연금소득자: 공적연금 1회 이상 수령, 연 소득 1,000만 원 이상
- 대출 한도: 최대 2,000만 원
- 대출 금리: 연 5%~10%
✅ 사잇돌 대출 2 (저축은행권)
- 취급 기관: 저축은행
- 대출 대상:
- 근로소득자: 현 직장에서 5개월 이상 재직, 연 소득 1,200만 원 이상
- 개인사업자: 사업 영위 기간 4개월 이상, 연 소득 600만 원 이상
- 연금소득자: 연 소득 600만 원 이상
- 대출 한도: 최대 3,000만 원
- 대출 금리: 연 8%~19%
✅ 사잇돌 대출 1과 2의 비교
구분 | 사잇돌 대출 1 | 사잇돌 대출 2 |
취급 기관 | 시중은행 | 저축은행 |
대상 | 중·저신용자 (근로소득자, 사업자, 연금소득자) | 중·저신용자 (근로소득자, 사업자, 연금소득자) |
자격 요건 | 근로소득자: 3개월 이상 재직, 연 소득 1,500만 원 이상 연금소득자 : 수령기간 1개월(1회)이상 연 소득 1000만원이상 |
근로소득자: 5개월 이상 재직, 연 소득 1,200만 원 이상 연금소득자 : 수령기간 1개월(1회) 이상, 연 소득 600만원 이상 |
사업자 요건 | 사업 6개월 이상, 연 소득 1,000만 원 이상 | 사업 4개월 이상, 연 소득 600만 원 이상 |
대출 한도 | 최대 2,000만 원 | 최대 3,000만 원 |
대출 금리 | 연 5%~10% | 연 8%~19% |
기타 | 4대 보험에 가입되어 있고, 재직증명 및 소득증명이 가능하면 일부 신청 가능 |
✅ 어떤 대출을 선택해야 할까?
사잇돌 대출 1(은행권)은 금리가 낮고 안정적이지만, 소득 요건이 상대적으로 까다롭습니다.
사잇돌 대출 2(저축은행권)은 소득 요건이 완화되어 있지만, 금리가 더 높은 것이 단점입니다.
따라서 본인의 소득 수준과 신용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대출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✅ 유의 사항
- 사잇돌 대출은 SGI서울보증보험의 보증을 필요로 하므로, 개인 신용도에 따라 보증 승인 여부가 결정됩니다.
- 햇살론과 사잇돌 대출은 운영 및 보증 기관이 달라 중복 이용이 가능합니다.
- 하지만 동시에 신청할 경우 거절될 가능성이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.
- 대출 신청 전 금융기관별 조건을 비교하고, 상환 계획을 세운 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.
- 금융기관마다 세부조건이 추가될 수도 있으며 신청자의 상황에 따라(연체, 부도, 파산 등) 승인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.
✅결론
사잇돌 대출은 금융 소외 계층이 보다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사잇돌 대출 1과 2 중 어떤 것이 본인에게 적합한지 분석하고 신중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필요합니다. 각각의 조건을 면밀히 비교한 후, 본인의 재정 상황에 맞는 대출 상품을 선택해야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