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년주택드림대출 총정리(청년주택드림청약 통장, 출시시기, 대상, 조건 및 금리)
3월 말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과 연계되는 상품인 청년주택드림대출이 출시됩니다. 해당상품은 연계 상품인 만큼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을 보유하고 조건에 맞는 분들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. 포스팅을 통해 해당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목차
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
✅ 가입 대상
- 나이: 만 19세 ~ 34세
- 소득: 직전 연도 신고소득이 있는 연소득 5천만 원 이하의 근로·사업·기타 소득자
- 현역 장병 및 전역자: 병적증명서(또는 군복무 확인서) 제출 시 가입 가능 (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조건 충족해야 함)
- 주택 소유: 무주택자
⚠️ 가입 조건
- 기존 청약통장 보유자
-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 →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으로 전환 가능 (당첨 계좌는 전환 불가)
- 기존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→ 자동 전환됨
- 가입 요건 증빙 서류
- 무주택: 무주택확약서
- 나이: 신분증
- 소득: 소득확인증명서, 소득원천징수 영수증 등
- 가입 방법
- 상반기 내 인터넷 뱅킹 및 모바일 가입 가능 예정
- 현역 장병은 ‘병적증명서’ 또는 ‘군복무 확인서’ 제출 후 은행 방문 가입 가능
- ⚠️ 가입개시일부터 2025.12.31일까지 가입가능
✅ 납입방식
- 매월 약정납입일에 2만 원 이상 100만 원 이하 납입
💰 이자 혜택 및 금리
- 우대 금리:
- 기본금리에 +1.7% p 우대 금리 적용 (무주택 기간만큼 적용)
- 가입 2년 이상 시 원금 5천만 원 한도로 최대 10년까지 적용
- 청약당첨으로 인한 해지인 경우 2년 미경과라도 적용
가입기간 | 주택청약종합저축 이율 |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이율 |
1개월 미만 | 무이자 | 무이자 |
1개월 ~ 1년 미만 | 2.3% | 3.7% |
1년 ~ 2년 미만 | 2.8% | 4.2% |
2년 ~ 10년 이내 | 3.1% | 4.5% |
10년 초과 | 3.1% | 3.1% |
- 비과세:
- 이자소득 비과세 (소득세율 15.4%)
- 가입 후 2년 내 무주택확인서 제출 시 적용
- 비과세 한도 500만 원 (연 납입금 600만 원까지)
- 소득공제:
- 연 납입금 300만 원 한도에서 40% 소득공제 적용
- 근로소득 7천만 원 이하인 경우 소득공제 가능
⚠️ 기타 조건
- 가입기간 중 주택 취득 시 무주택 기간만 우대 금리 적용
- 가입 후 주택 소유해도 비과세는 유지
- 세대원이 주택 소유 시 소득공제 혜택 불가
자세한 정보는 아래 링크를 방문하여 확인 가능합니다!
우리은행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
청년주택드림대출
✅ 출시 시기 : 2025년 3월 말 출시 예정
✅ 대상
- 청약이 당첨된 만 20~39세 무주택 세대주
- 대출 시 소득 7천만 원(신원 1억 원) 이하, 순자산 4.88억 원 이하(소득 4 분위 평균 순자산가액, 매년 변동)
- 청년주택드림통장 가입(전환) 이후 1년 이상 + 납입 실적 1,000만 원 이상 필요
⚠️ 대출 조건
- 대상 주택 : 분양가 6억 원, 전용면적 85 제곱(도시 제외 읍, 면 100 제곱) 이하 주택
- 최저 금리 2.2% 적용하되, 매 반기별 재검토 후 공시
- 최장 40년까지 대출 가능
- 대출한도는 기존 디딤돌대출 한도인 최대 3억 원(신혼 4억 원)과 동일
💰 대출 금리
- 우대금리 : 대출 이후 결혼(0.1% p), 최초 출산(0.5% p), 출산(0.2% p)에 따른 우대 금리를 최대 1% p까지 제공
- 단, 최저 금리는 1.5%
기타 알아두면 좋은 정보
✅ 추천 청약 지역
- 서울 지역의 6억 원 이하 아파트는 공급이 적어 수도권 및 지방 청약을 노리는 것이 유리
- 고양 창릉, 하남 교산, 부천 대장, 남양주 왕숙, 인천 계양 등 3기 신도시 포함 2.8만 호 본청약 실시
✅ 출산 및 신혼부부 우대 정책
- 신혼부부 특별공급의 우선공급 비율 35%로 확대
- 공공분양주택에도 신생아 우선공급 도입
- 출산가구 대상 공급 물량 12만 가구로 확대
✅ 기타 주택 공급 계획
- 청년희망드림주택 1만 8,000 가구 공급 예정
✅ 대출희망일 신청가능일자
- 주택도시기금 수요자대출은 대출취급에 충분한 준비 기간이 필요합니다.
- 구입자금대출은 대출신청일로부터 최소 50일 이후,
- 전, 월세자금대출은 대출 신청일로부터 최소 30일 이후
- 대출희망일 신청이 가능하니 자금계획 수립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